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오토뉴스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하버드서 개발, 한국 배터리 패권 빼앗기나?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하버드서 개발, 한국 배터리 패권 빼앗기나?

박서준 기자 조회수  

하버드대학교의 혁신적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

하버드대학교 연구진이 전기차를 단 10분 만에 풀 충전할 수 있는 새로운 고체 배터리를 개발했다. 이 리튬금속배터리는 기존 파우치 배터리 셀보다 최소 6,000회 이상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학술지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에 발표되었으며, 리튬 금속 양극을 사용하여 전고체 배터리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전기차 배터리 사진 전기차 판매감소로 내년시장 격변
▲전기차 배터리/ 출처: Shutterstock

전고체 배터리 설계와 혁신

전고체 배터리를 설계할 때 주요 문제 중 하나는 양극 표면에 덴드라이트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수상돌기는 리튬 표면에 축적되어 전해질 속으로 자라나며,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분리막을 뚫어 배터리의 단락이나 화재를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안정성을 지닌 재료를 사용한 다층 배터리를 설계했다.

▲ 전기차 배터리/출처: 셔터스톡
▲ 전기차 배터리/출처: 셔터스톡

새로운 연구의 중요성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양극에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콘 입자를 사용하여 수상돌기 형성을 완전히 차단했다. 이는 충전 중 리튬 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할 때 리튬화 반응을 수축시키고, 더 이상 침투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이 개발한 전고체 배터리는 6,000 싸이클 충전 후에도 용량의 80%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 BYD의 LFP 블레이드 배터리/ 출처: BYD
▲ BYD의 LFP 블레이드 배터리/ 출처: BYD

기술의 상업적 응용

하버드대 기술 개발국(Harvard Office of Technology Development)은 이 기술을 신리 교수와 세 명의 하버드 졸업생들이 공동 설립한 스타트업인 아덴 에너지(Adden Energy)에 제공하기로 했다. 아덴 에너지는 스마트폰 크기의 파우치 셀 배터리를 만드는 기술도 확보하고 있어, 이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은 상업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author-img
박서준 기자
content_editor1@autofork.co.kr

댓글0

300

댓글0

댓글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공유하기

0